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ecretgini 의 블로그

Quiz 161~170 본문

WINE Quiz

Quiz 161~170

secretgini 2025. 4. 20. 14:00
반응형

161. DOCG 등급을 받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는?

A. 최소 10년 이상의 숙성
B. 정부 품질 검사 및 병목 씰 부착
C. 단일 품종 와인만 허용
D. 지정된 포도 품종 비율 100% 사용
🔎 정답: B
📌 해설: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는 이탈리아 와인의 최고 등급으로, DOC보다 엄격한 품질 검사를 요구합니다. DOCG 와인은 병목에 국가가 인증한 품질 보증 씰을 부착해야 하며, 품질 검사를 통과해야 출고할 수 있습니다.


162. 다음 중 DOCG 와인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지역은?

A. 풀리아(Puglia)
B. 캄파니아(Campania)
C. 칼라브리아(Calabria)
D. 리구리아(Liguria)
🔎 정답: B
📌 해설:
캄파니아는 4개의 DOCG 와인을 보유한 지역으로, 대표적으로 타우라지(Taurasi) DOCG가 있습니다. 반면, 리구리아와 칼라브리아는 DOCG 와인을 보유하지 않으며, 풀리아는 최근 DOCG가 추가되었지만 1개뿐입니다.


163. 이탈리아의 IGT 등급이 처음 등장한 이유는?

A. 저급 와인과 고급 와인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B. 특정 지역에서 DOCG/DOC 규정을 따르지 않고도 품질 좋은 와인을 생산하기 위해
C. 유럽 연합(EU)의 법률에 따라 새로운 등급이 필요했기 때문에
D. 와인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 정답: B
📌 해설:
IGT(Indicazione Geografica Tipica)는 1992년 도입된 등급으로, DOCG/DOC보다 규제가 적어 생산자의 창의성을 보장합니다. 특히 슈퍼 투스칸(Super Tuscan) 와인들이 DOC 규정을 따르지 않으면서도 높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IGT 등급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164. 다음 중 바롤로(Barolo) DOCG의 필수 조건이 아닌 것은?

A. 네비올로(Nebbiolo) 100% 사용
B. 최소 3년 숙성 (리제르바는 5년 숙성)
C. 오크 숙성 최소 18개월 필수
D. 반드시 아마로네(Amarone) 스타일로 양조
🔎 정답: D
📌 해설:
바롤로 DOCG는 네비올로(Nebbiolo) 100% 사용이 필수이며, 최소 3년 숙성(리제르바는 5년) 규정이 있습니다. 또한, 오크 숙성 18개월 이상 필수이지만, 아마로네 스타일(말린 포도를 사용하는 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165. DOCG 와인이 가장 많은 이탈리아 지역은?

A. 토스카나(Toscana)
B. 피에몬테(Piemonte)
C. 베네토(Veneto)
D. 시칠리아(Sicilia)
🔎 정답: B
📌 해설:
피에몬테는 19개의 DOCG 와인을 보유하고 있어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DOCG를 보유한 지역입니다. 대표적인 DOCG로는 바롤로(Barolo), 바르바레스코(Barbaresco), 가타리나(Gattinara) 등이 있습니다.


166. 베르멘티노(Vermentino) 품종이 DOCG 등급으로 인정된 지역은?

A. 토스카나
B. 베네토
C. 사르데냐
D. 캄파니아
🔎 정답: C
📌 해설:
베르멘티노 디 갈루라(Vermentino di Gallura) DOCG사르데냐(Sardegna)에서 유일한 DOCG 와인입니다.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화이트 품종 중 하나인 베르멘티노는 신선한 산도와 미네랄감이 특징입니다.


167.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적포도 품종은?

A. 산지오베제(Sangiovese)
B. 네비올로(Nebbiolo)
C. 바르베라(Barbera)
D. 프리미티보(Primitivo)
🔎 정답: A
📌 해설:
산지오베제(Sangiovese)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포도 품종으로, 키안티(Chianti),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등의 주요 와인에 사용됩니다.


168. 아마로네(Amarone della Valpolicella) DOCG의 주요 양조 방식은?

A. 카르보닉 마세라시옹(Carbonic Maceration)
B. 파시토(Passito) 방식
C. 솔레라(Solera) 방식
D. 크리오익스트랙션(Cryoextraction)
🔎 정답: B
📌 해설:
아마로네는 말린 포도(Appassimento)로 양조하는 파시토(Passito) 방식을 사용하여 높은 알코올 도수와 강한 풍미를 가지는 독특한 스타일의 와인을 만듭니다.


169. 키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 DOCG의 필수 규정 중 맞는 것은?

A. 최소 50% 산지오베제 사용
B. 오크 숙성 필수
C. 최소 80% 산지오베제 사용
D. 스위트 와인만 허용됨
🔎 정답: C
📌 해설:
키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 DOCG는 산지오베제를 최소 80% 이상 사용해야 하며, 숙성 규정도 까다롭습니다.


170. DOCG 등급의 첫 번째 와인은?

A. 바롤로(Barolo) DOCG
B. 키안티(Chianti) DOCG
C. 타우라지(Taurasi) DOCG
D.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DOCG
🔎 정답: B
📌 해설:
키안티(Chianti) DOCG는 1980년 이탈리아 최초로 DOCG 등급을 받은 와인입니다.

반응형

'WINE Qu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z 181~190  (0) 2025.04.29
Quiz 171~180  (0) 2025.04.24
Quiz 151~160  (0) 2025.04.15
Quiz 141-150  (0) 2025.04.10
Quiz 131~140  (0)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