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ecretgini 의 블로그

Quiz 281~290 본문

WINE Quiz

Quiz 281~290

secretgini 2025. 6. 25. 17:00
반응형

문제 281. 객관식

다음 중 브렛(Brettanomyces)의 주요 대사산물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A. 4-ethylphenol
B. 4-ethylguaiacol
C. isovaleric acid
D. ethyl acetate
정답: D
해설:
Ethyl acetate는 VA(휘발산) 관련 물질로, Acetobacter나 다른 산화 반응에 의해 생성됩니다. 반면, 4-EP, 4-EG, isovaleric acid는 브렛의 주요 부산물입니다.


문제 282. 진위형 (True/False)

브렛(Brettanomyces)에 의한 결함은 오크 숙성을 피하면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정답: False
해설:
브렛은 오크통 외에도 병입 후, 발효 탱크 등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오크통이 주요 매개이긴 하지만 완전한 방지책은 위생과 SO₂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문제 283. 객관식

다음 중 VA(휘발산) 농도가 감각적으로 뚜렷하게 인지되기 시작하는 수준은 일반적으로 얼마인가?
A. 0.2 g/L
B. 0.5 g/L
C. 0.7 g/L
D. 1.5 g/L
정답: C
해설:
0.7 g/L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소비자와 전문가가 VA의 아세톤 또는 식초 냄새를 명확히 인지하게 됩니다. 그 이하 수준은 민감도에 따라 다르게 느껴집니다.


문제 284. 단답형

와인에서 마우스(mousiness)는 주로 입안에서 느껴지는 특이한 향이다. 후각으로는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 이 향의 감별을 어렵게 만드는 화학적 이유는 무엇인가?
정답: 휘발성이 낮고 알칼리성 환경(입 안)에서 활성화되기 때문
해설:
마우스는 3-ethyltetrahydropyridine 등의 화합물로 인해 생기며, 공기 중에서 휘발되지 않아 코로는 거의 감지되지 않습니다. 입 안의 pH에 도달했을 때 특유의 쥐 우리 향이 활성화됩니다.


문제 285. 서술형 (간단 서술)

브렛과 VA가 동시에 존재하는 와인을 테이스팅할 때, 감각적으로 어떤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감별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모범 답안 요지:
브렛의 동물적 향과 VA의 화학적 향이 감각적으로 **상호 증폭(Synergistic effect)**되어 더 복잡하거나 혼탁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해당 와인이 복합미를 가진 개성 있는 와인인지, 혹은 명백한 결함이 중첩된 상태인지 판단하기 어렵게 됩니다. 감별이 어려운 이유는 향의 ‘불균형’ 때문입니다.


문제 286. 진위형

와인에 브렛이 존재하더라도 과일 향이 살아있고, 전체적인 밸런스가 유지된다면 복합미로 평가받을 수 있다.
정답: True
해설:
브렛은 결함이지만, 감각적 균형(과일 향, 산도, 탄닌 등)이 유지되면 일부 와인 스타일에서는 **복합미(complexity)**로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문제 287. 객관식

다음 중 부쇼네(TCA)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젖은 판지, 지하실 냄새가 특징이다
B. 과일 향이 뚜렷해지며 와인이 더욱 복합적으로 느껴진다
C. 오염된 천연 코르크에서 비롯된다
D. 매우 소량만 존재해도 감지될 수 있다
정답: B
해설:
부쇼네는 와인의 향미를 죽이며 과일 향을 제거하는 결함입니다. 복합미를 더하지 않으며, 거의 예외 없이 "결함"으로 간주됩니다.


문제 288. 단답형

브렛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두 가지 양조 기술적 조치를 쓰시오.
정답:

  1. SO₂(이산화황) 관리
  2. 위생적 오크통 살균 및 여과

해설:
SO₂는 브렛 효모의 번식을 억제하는 주요 방부제이며, 오크통 위생 관리가 실패할 경우 브렛의 번식 경로가 됩니다. 병입 전 **멤브레인 여과(0.45µm)**도 중요한 차단 방법입니다.


문제 289. 객관식

다음 중 VA가 높게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건은?
A. 저온 발효 + 고산도 + 빠른 병입
B. 고온 숙성 + 산소 노출 + 발효 중단
C. 무산소 저장 + 고황산염 사용
D. 냉장 보관 + 합성 코르크 사용
정답: B
해설:
VA는 산소 노출불완전 발효(잔당 존재), 그리고 고온 조건에서 쉽게 발생합니다. Acetobacter는 이런 환경에서 활발하게 작용합니다.


문제 290. 서술형

소믈리에로서 손님이 브렛이 있는 와인을 마시고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했을 때, 당신은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까? 브렛의 존재 여부와 고객 대응 전략을 기술하시오.
모범 답안 요지:
먼저 손님의 테이스팅 노트를 경청하고, 브렛의 가능성이 있다면 설명 없이 동일 와인의 다른 병을 조용히 시음해서 비교합니다. 브렛은 스타일적 요소일 수도 있으므로, 와인의 특성에 따른 것인지, 결함인지 판단 후 고객에게 객관적 설명을 제공하되, 즉시 교체하거나 다른 와인 추천으로 신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팁

WSET 디플로마 수준에서는 단순한 정의 암기가 아니라,
감각 분석 + 원인 이해 + 해결책 제시 + 소비자 대응까지 종합적 사고가 요구됩니다.
특히 브렛과 VA는 감각적으로 혼동되기 쉬우므로, 반복적인 비교 시음 훈련이 실전 감별력 향상의 핵심입니다.

반응형

'WINE Qu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z 301~310  (0) 2025.07.08
Quiz 291~300  (0) 2025.06.30
Quiz 271~280  (0) 2025.06.20
Quiz 261~270  (0) 2025.06.11
Quiz 251~260  (0) 202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