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z 121~130

121. 기후와 지형 관련 문제
Q1. 다음 중 스페인의 주요 와인 산지 중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곳은 어디인가?
A) 리오하 (Rioja)
B) 리베라 델 두에로 (Ribera del Duero)
C) 프리오랏 (Priorat)
D) 몬산트 (Montsant)
해설:
리베라 델 두에로(Ribera del Duero)는 대부분의 포도밭이 해발 750~1000m에 위치하며, 높은 일교차 덕분에 타닌이 강하고 구조적인 와인을 생산한다. 다른 지역보다 해발고도가 높다.
정답: B) 리베라 델 두에로
122. 토양과 와인의 관계
Q2. 프리오랏(Priorat) 지역에서 독특한 미네랄리티를 형성하는 주요 토양 유형은 무엇인가?
A) 점토질(Clay)
B) 화강암(Granite)
C) 편암(Schist, Llicorella)
D) 석회암(Limestone)
해설:
프리오랏의 대표적인 토양은 Llicorella라고 불리는 검은 편암(schist) 기반 토양으로, 배수가 뛰어나고 포도나무 뿌리가 깊이 뻗도록 유도하여 강한 미네랄리티와 집중도를 가진 와인을 생산하게 한다.
정답: C) 편암(Schist, Llicorella)
123. 품종과 와인 스타일
Q3. 다음 중 비에르소(Bierzo)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높은 산도와 붉은 과일, 플로럴 아로마가 특징인 레드 품종은?
A) Tempranillo
B) Mencía
C) Garnacha
D) Monastrell
해설:
비에르소 지역은 대서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서늘한 환경에서 포도가 재배되며, Mencía는 높은 산도와 붉은 과일, 꽃 향이 특징인 품종이다.
정답: B) Mencía
124. 와인 스타일과 숙성
Q4. 리오하(Rioja) 와인의 숙성 등급 중 가장 오랜 기간 숙성해야 하는 등급은?
A) Crianza
B) Reserva
C) Gran Reserva
D) Joven
해설:
리오하의 Gran Reserva 와인은 최소 5년(적어도 2년은 오크통) 숙성해야 하며, 장기 숙성 능력이 뛰어나다.
정답: C) Gran Reserva
125. 와인 제조 방식
Q5. 스페인의 안달루시아(Andalucía) 지역에서 생산되는 쉐리(Sherry) 와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A) 솔레라 시스템(Solera System)
B) 주정 강화(Fortification)
C) 리코렐라(Llicorella) 토양
D) 팔로미노 피노(Palomino Fino) 품종
해설:
쉐리는 솔레라 시스템을 통해 여러 빈티지를 혼합하여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며, 주정 강화 방식으로 알코올 도수를 높인다. 하지만 프리오랏 지역의 특징인 Llicorella 토양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 C) 리코렐라(Llicorella) 토양
126. 와인 평가
Q6. 리베라 델 두에로(Ribera del Duero) 와인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A) 강한 타닌과 높은 산도
B) 주로 Tempranillo로 생산됨
C) 짧은 숙성 후 빠르게 소비됨
D) 깊고 어두운 색상
해설:
리베라 델 두에로의 와인은 구조감이 강하고 장기 숙성에 적합하며, 깊은 색과 강한 타닌이 특징이다. 짧은 숙성 후 소비되는 스타일은 흔하지 않다.
정답: C) 짧은 숙성 후 빠르게 소비됨
127. 와인 투자와 컬렉션
Q7. 다음 중 장기 보관 및 투자 가치가 가장 높은 스페인 와인은?
A) Albariño
B) Pingus
C) Bobal
D) Joven 스타일의 Garnacha
해설:
Pingus는 리베라 델 두에로 지역에서 극소량 생산되는 프리미엄 와인으로, 높은 가격과 장기 숙성 가능성 때문에 와인 컬렉터들에게 인기가 많다.
정답: B) Pingus
128. 지리적 구분
Q8. 다음 중 DOCa(Denominación de Origen Calificada) 등급을 받은 두 개의 스페인 와인 지역은?
A) 리오하와 리베라 델 두에로
B) 프리오랏과 몬산트
C) 리오하와 프리오랏
D) 리베라 델 두에로와 프리오랏
해설:
스페인에서 DOCa(최고 등급)로 지정된 지역은 *리오하(Rioja)*와 *프리오랏(Priorat)*뿐이다.
정답: C) 리오하와 프리오랏
129. 지역별 주요 특징
Q9. 무르베드르(Monastrell) 품종이 주로 재배되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지역은?
A) 리오하
B) 후미야(Jumilla)
C) 리베라 델 두에로
D) 비에르소
해설:
Monastrell(무르베드르)은 뜨겁고 건조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후미야(Jumilla)는 이 품종의 대표적인 산지로 강렬하고 탄닌이 풍부한 와인을 만든다.
정답: B) 후미야(Jumilla)
130. 와인 스타일과 트렌드
Q10. 최근 스페인의 와인 생산 트렌드 중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A) 전통적인 아메리칸 오크 숙성 방식
B) 단기 숙성 후 소비하는 스타일 감소
C) 내추럴 와인 및 바이오다이나믹 농법 증가
D) 높은 알코올 도수의 와인 선호
해설:
최근 스페인에서는 내추럴 와인과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신선하고 과실 중심적인 스타일의 와인이 주목받고 있다.
정답: C) 내추럴 와인 및 바이오다이나믹 농법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