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z 261~270

❓ 문제 261
Côte-Rôtie AOC에서 Viognier가 블렌딩되는 방식과 그것이 Syrah의 구조 및 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 모범 답안:
Côte-Rôtie AOC에서는 법적으로 Syrah에 최대 20%의 Viognier를 블렌딩할 수 있으며, 대부분 동시 발효(co-fermentation) 방식으로 양조한다.
Viognier는 향이 강한 아로마틱 품종으로, Syrah에 플로럴한 아로마(제비꽃, 라벤더 등)를 부여하고, 색 안정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미세한 질감을 부여하여 Syrah의 거친 탄닌을 보다 실크처럼 느끼게 만든다.
🧾 해설:
Diploma 수준에서는 단순히 “Viognier는 향을 더한다” 수준이 아니라, **공학적 역할(색 고정, 질감 개선)**까지 설명해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문제 262
Cornas AOC는 Syrah 단일 품종만 허용되는데, 이 제한이 해당 AOC의 와인 스타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서술하시오.
✅ 모범 답안:
Cornas는 100% Syrah만 허용되므로, 다른 북부 론 AOC보다 더 집중적이고 직선적인 구조감을 가진다.
Viognier나 다른 보조 품종이 부재하므로 향의 다양성보다는 철분, 블랙올리브, 육향 등 테루아 중심의 풍미가 부각된다.
이로 인해 장기 숙성력이 강한 남성적인 스타일이 형성된다.
🧾 해설:
Diploma에서는 "법적 제한 → 스타일 변화 → 소비자 경험"이라는 논리적 흐름이 중요합니다.
❓ 문제 263
Hermitage AOC 내 대표 구획(Lieu-dit) 중 Les Bessards와 Le Méal의 토양 차이가 와인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시오.
✅ 모범 답안:
Les Bessards는 화강암 기반의 급경사 지형으로, 탄닌이 강하고 장기 숙성력 높은 Syrah를 생산한다.
Le Méal은 자갈과 점토가 혼합된 남향의 따뜻한 토양으로, 더 풍부하고 과일 중심적인 스타일을 만든다.
따라서 Bessards는 구조 중심, Méal은 향과 질감 중심으로 블렌딩 시 복합성과 균형을 이룬다.
🧾 해설:
단순 토양 설명이 아닌, 와인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까지 연결되어야 고득점.
❓ 문제 264
Saint-Joseph AOC의 지리적 범위 확대가 와인의 일관성과 품질에 미친 영향을 설명하시오.
✅ 모범 답안:
Saint-Joseph AOC는 원래 Tournon 인근의 고지대 포도밭 중심이었지만 1971년 AOC 범위가 북쪽으로 크게 확장되면서 지질, 고도, 기후가 크게 다양화되었다.
이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단순한 과일 중심의 Syrah가 생산되며, AOC 전반의 품질 일관성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최근 들어 핵심 구역 중심으로 프리미엄 와인이 집중되고 있다.
🧾 해설:
Diploma는 AOC 확장의 역사와 현실적 문제(품질 관리, 브랜드 이미지 등)에 대한 분석이 중요합니다.
❓ 문제 265
Côte-Rôtie와 Hermitage의 Syrah 스타일 차이를 테루아와 양조방식 중심으로 비교하시오.
✅ 모범 답안:
Côte-Rôtie는 서늘한 기후, 점판암 기반 토양, Viognier 블렌딩이 가능하여 플로럴하고 실키한 질감의 Syrah를 만든다.
반면 Hermitage는 화강암 기반의 더 따뜻한 지형에서 자란 Syrah로, 묵직하고 강한 구조감과 장기 숙성력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ermitage는 구획 블렌딩 중심, Côte-Rôtie는 싱글 밭 중심인 것도 차이점이다.
🧾 해설:
단순 "가볍고 무겁다"는 설명은 부족하며, 기후 + 토양 + 생산 전통까지 다뤄야 고득점.
❓ 문제 266
Crozes-Hermitage AOC가 프리미엄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는 구조적 요인을 서술하시오.
✅ 모범 답안:
Crozes-Hermitage는 Hermitage를 둘러싼 넓은 AOC로, 지형과 토양의 다양성이 크고 기계 수확이 가능한 평지 중심이다.
이에 따라 과잉 생산과 품질 변동성이 커졌고, Hermitage와 비교해 덜 집중된 와인 스타일이 형성된다.
단, 고지대에서 전통 방식으로 만든 cuvée는 고품질도 가능하다.
🧾 해설:
Diploma는 생산 규모, 기계화, 토양, 시장 포지셔닝 등을 입체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문제 267
Jean-Louis Chave와 Chapoutier의 Hermitage 양조 철학 차이를 설명하시오.
✅ 모범 답안:
Jean-Louis Chave는 다양한 구획(Les Bessards, Le Méal 등)을 블렌딩하여 밸런스와 복합미 중심의 전통 Hermitage를 만든다.
반면 Chapoutier는 구획별 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단일 밭 cuvée(예: L'Ermite, Le Pavillon)**로 출시하며, 테루아 표현에 집중한다.
또한 Chapoutier는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을 광범위하게 적용한다.
🧾 해설:
“블렌딩 vs. 단일 밭”이라는 전략적 차이 외에, 철학, 테루아 관점까지 언급해야 높은 수준의 답변입니다.
❓ 문제 268
Condrieu AOC의 Viognier가 타 지역 Viognier와 비교해 독특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모범 답안:
Condrieu의 Viognier는 화강암 기반의 가파른 언덕에서 자라며, 저수확량과 서늘한 기후로 인해 **높은 아로마 복합성(살구, 복숭아, 흰 꽃)**과 풍부한 질감을 지닌다.
신세계 Viognier보다 산미 유지력이 더 뛰어나고, 오크 숙성 시 크리미함과 무게감을 동시에 형성한다.
🧾 해설:
Viognier의 스타일을 지리 + 기후 + 숙성 기술을 통해 논리적으로 연결해야 고득점입니다.
❓ 문제 269
Syrah 품종이 북부 론에서 성공적인 이유를 기후와 생리학적 특성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 모범 답안:
Syrah는 고온 건조 기후에서는 과숙되기 쉽고, 서늘한 기후에서는 향과 산도, 탄닌 균형이 잘 형성된다.
북부 론은 대륙성 기후 + 강한 일교차 + 미스트랄 북풍의 영향으로 Syrah의 이상적 생장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가파른 경사와 배수 좋은 토양은 루트스트럭트 확장과 응축된 포도 생산에 유리하다.
🧾 해설:
“왜 Syrah가 거기서 잘 되냐”는 질문은 기후와 품종 적응도 간 관계 분석이 핵심입니다.
❓ 문제 270
북부 론 AOC 간에 허용된 품종 블렌딩 규정을 비교하시오. (적포도 기준)
✅ 모범 답안:
Côte-Rôtie: Syrah + 최대 20% Viognier 허용
Hermitage, Cornas, Saint-Joseph: Syrah 단독만 허용
Crozes-Hermitage: Syrah + 최대 15% Marsanne & Roussanne 허용
St-Péray: 적포도 불허
이러한 차이는 향 스타일, 질감 및 와인 복합성 차이로 이어진다.
🧾 해설:
규정 나열 후, 왜 그것이 스타일에 영향을 주는지까지 서술이 요구됩니다.